본문 바로가기

정유 및 석유화학

석유 산업의 구조와 영향력

석유 산업
석유 산업의 구조

1. 석유 산업의 구조

석유 산업의 구조
석유 산업의 구조와 관련된 산업

석유산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는 그 구조를 자세히 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크게 3가지 Stream으로 구분짓고 있습니다. 

상류 부문(UpStream)

지하에 부존하고 있는 석유를 탐사하고 개발하여 생산하는 산업을 상류 부문이라고 합니다. 상류부문은 땅속에 숨어있는 석유를 탐사하여 발견에 성공하면 충분한 양이 존재할 경우에만 개발하여 지상으로 생산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상류부문의 석유개발 회사는 석유탐사와 시추를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탐사는 물리탐사 전문회사에게, 시추는 시추전문회사에게 용역을 맡겨서 탐사 및 시추작업을 수행하고 탐사에 성공하면 개발 및 생산 설비도 공학 설계회사와 플랜트 및 건설회사에 용역을 맡겨 수행하고 있습니다.

중류 부문(MidStream)

생산된 석유를 정유공장까지 운송하고 저장하는 분야를 중류 부문이라고 합니다. 운송회사나 저장탱크를 보유한 회사들이 있겠죠?

중류 부문에서는 석유 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원유 도입, 저장설비 분야 등이 석유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석유와 가스 운송은 파이프라인과 유조선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육지로 연결된 곳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고 바다를 건너게 되면 대규모 유조선과 LNG 운반선을 이용한다. 석유에 대한 수요에 따라 파이프라인과 조선업 등이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나라마다 안정적인 원유공급을 위해 유사시를 대비한 지상 탱크와 지하공동을 이용한 원유 비축시설도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와 같은 원유 비축시설 분야도 석유산업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류 부문(DownStream)

생산된 원유를 정제하고 판매하거나 또한 이를 원료로 하여 석유화학제품을 만드는 석유화학분야를 하류부문이라고 합니다. 

하류부문에서는 원유의 정유, 플라스틱 제조와 같은 석유화학제품, 주유소에서의 휘발유 판매 등이 석유와 관련된 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산, 여수, 울산에 이러한 하류부문의 대규모 산업단지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땅속에서 석유를 생산하기 때문에 석유산업을 하류 부문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물이 강의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가듯이 석유산업 분야의 일이 생산하고 운송하여 제품을 만드는 순서로 일어나기 때문에 각각 상류-중류-하류 부문으로 이름 붙여졌다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2. 석유의 영향력

석유의 영향력
석유가 여러 산업에 끼치는 영향력

석유라는 단일 품목이 세계경제에 끼치는 영향력은 매우 큽니다. 석유의 경제적인 규모를 생각하지 않아도 우리가 매일 신문과 방송 등 매스컴을 통해 유가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그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왜 사람들은 유가 변화에 관심을 보일까요?

사회적으로는 자동차 휘발유와 같은 연료비에 대한 걱정, 기업에서는 원유 수입에 따른 연료비와 원료비 상승 부담에 대한 걱정,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원료 수입 증가와 제품 수출 감소에 대한 걱정이 많아지게 됩니다. 유가가 오르면 석유생산과 관련된 기계, 철강업이나 조선업의 경기가 살아나고 반대로 저유가가 되면 석유 소비분야인 정유업이나 전력회사, 더 나아가 여행업들이 혜택을 보기도 합니다.